1) 종료 버그 패치

   - 증상 : 처음 막 설치할 때는 괜찮으나 여러가지 드라이버들을 설치하다 보면 제대로 윈도우가 종료되지 않는다. 시스템 종료를 선택하면 재부팅되어 버림. 시스템 재시작을 선택하면 'Windows를 종료하고 있습니다...'의 화면에서 멈춰버림. 

   - 해결 : MS에서 내놓은 종료 버그 패치를 깔면 된다

 

2) USB 패치

   - 증상 : 화면 절전으로 꺼졌을 때 USB 마우스나 키보드로 깨우는 기능이 작동하지 않는다. 처음 컴퓨터를 켰을 때에는 키보드, 마우스가 잘 작동하나 어느 정도 사용하다 보면 작동이 멈춘다. 화면 절전으로 꺼진 다음에는 마찬가지로 작동이 멈춘다.

   - 해결 : 레지스트리 에디터로 다음 사항을 적용

Windows Registry Editor Version 5.00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usb]
"USBBIOSHACKS"=dword:00000000
"USBBIOSx"=dword:00000000

 

 

출처 : https://github.com/keirf/FlashFloppy/issues/232

 

알리에서 구입할 수 있는 고텍 종류 중 요렇게 생긴 물건이 있다. EILASUNG FDD-UDD U144K라는 제품명을 가지고 있고 내부 기판은 이렇게 생겼음.

 

흔히 알려진 아래의 원조 GOTEK 보드와는 생김새가 상당히 다르다.

 

메인 칩도 보통 GOTEK은 Artery 칩을 쓰나 이놈은 STM32 칩을 쓴다. 

GOTEK의 주된 용도(?)인 FlashFloppy용으로의 개조가 가능할지 조금 의심+불안스러웠으나 위 링크에서 개조법을 찾아냄.

 

  • Gotek 드라이브에서 모든 점퍼를 제거
  • ST-Link-V2 프로그래머를 Gotek에 연결한다

  • Windows에서 "STM32 ST-Link Utility"를 설치, 실행한다

  • ST-Link Utility에서 연결 버튼을 누른 다음 NRST(Pin 07)를 빠르게 분리한다
  • 다음과 같이 장치가 연결되어야 함

  • 참고: 문제가 있는 경우 연결 설정을 확인하려면 다음 그림을 참조할 것

  • 이제 NRST(일명 핀 07)를 ST-Link-V2 프로그래머의 RST 핀에 연결한다
  • ST-Link Utility에서 메뉴의 Target -> Program을 선택

  • FlashFloppy를 다운로드하고 압축을 푼다
  • FlashFloppy .hex 펌웨어 파일을 선택하고 Gotek에 플래싱한다

  • 이제 핀 J2(일명 SO)에 점퍼를 연결한다
  • 완료!

 

 

* OLED 연결법

 

 

* 로터리 인코더 연결법

 

'Retro > D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PS2Serial  (0) 2024.12.26
윈98 설치시 해줘야 하는 것들  (0) 2024.12.20
DOS / Win98 듀얼부팅 간단하게 만들기  (0) 2024.12.08
미니 도스컴퓨터 만들기  (0) 2024.11.15
사운드블래스터 카드의 IDE 포트 활용하기  (0) 2024.08.22

https://cafe.naver.com/olddos/94184

 

순수 윈도우98만 설치 후 DOS와의 듀얼 부팅 세팅법

대한민국 모임의 시작, 네이버 카페

cafe.naver.com

 

1. 윈도우 98 SE를 설치함

 

2. 무사히 설치 잘 됐으면 먼저 윈도우가 설치된 C 드라이브에서 C:\MS-DOS.SYS 파일의 속성을 숨김, 읽기전용 해제하고 편집한다.

 - 'Options' 항목에 BootGUI=1BootGUI=0 으로 변경하고 저장

 - 파일의 속성을 원래대로 돌려놓는다(숨김, 읽기전용 체크). 기록이라는것이 체크되는데 해제할것

 

3. 이 상태에서 재부팅하지 말고 아래의 두 파일도 편집한다

 

4. 똑같이 C:\에 있는 CONFIG.SYS 편집

[MENU]
menuitem=WIN, Windows 98 SE
menuitem=DOS, MS-DOS

menudefault=WIN, 20
MENUCOLOR=7,0

[COMMON]
DOS=HIGH,UMB
FILES=30
BUFFERS=20
STACKS=0,0
LASTDRIVE=Z

[WIN]
device=C:\WINDOWS\biling.sys
DEVICE=C:\WINDOWS\setver.exe

[DOS]
DEVICE=WINDOWS\HIMEM.SYS /VERBOSE /NUMHANDLES=72
DEVICE=WINDOWS\EMM386.EXE RAM AUTO

 

5. AUTOEXEC.BAT 편집

@echo off
PATH=C:\WINDOWS\COMMAND;C:\DOS;C:\DOS\MDIR;
goto %config%


:WIN
loadhigh C:\WINDOWS\COMMAND\nlsfunc.exe C:\WINDOWS\country.sys
C:\WINDOWS\WIN.COM
GOTO END


:DOS
LH DOS\SMARTDRV.EXE 1024 512 /v
GOTO END

:END

 

 

'Retro > D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98 설치시 해줘야 하는 것들  (0) 2024.12.20
EILASUNG FDD-UDD U144K : FlashFloppy 작업  (0) 2024.12.12
미니 도스컴퓨터 만들기  (0) 2024.11.15
사운드블래스터 카드의 IDE 포트 활용하기  (0) 2024.08.22
picoX86  (0) 2023.06.1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