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s://github.com/taneken/USBKBD2X68K

 

필요 기재(예)

  • Arduino Uno + USB HOST 실드
  • Arduino pro mini (5V) + USB HOST 실드 (pro mini 5V 용)
  • Arduino pro mini (3.3V) + USB HOST 실드 (pro mini 3.3v 용) + 레벨 컨버터

X68000 본체에서 5V가 흐르기 때문에 Arduino 측도 5V에 맞출 필요가 있습니다.

 

배선도

//  본체측             Arduino측
//  -------------------------------------------
//  1:Vcc2 5V(out) -> 5V
//  2:MSDATA(out)  <- TX(1)
//  3:KEYRxD(in)   <- A0(14) softwareSerial TX 
//  4:KEYTxD(out)  -> A1(15) softwareSerial RX
//  5:READY(out)
//  6:REMOTE(in)
//  7:GND(--)      -- GND

키 할당

109 키보드는 모든 키를 할당 할 수 없으므로 사용 빈도가 낮은 키를 할당하지 않습니다.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십시오.

 

Sted2에서 리듬 화면에 들어가기 위해서는  기호 입력이나 등록 키를 눌러야 하는데, 나는 Sted2를 사용할 때만 Keywitch를 이용하여 "BREAK"와 "COPY"를 "기호 입력"과 "등록"으로 바꿔 사용하고 있습니다. 

 

일본어 109 키보드 할당 예 (빨간색 부분이 X68000의 키 배치)

 

키 배치의 초기 상태

//  ・F11      -> かな(0x5a)
//  ・F12      -> ローマ字(0x5b)
//  ・LeftWin  -> ひらがな(0x5f)
//  ・LeftAlt  -> XF1(0x55)
//  ・無変換    -> XF2(0x56)
//  ・変換      -> XF3(0x57)
//  ・カタカナ   -> XF4(0x58)
//  ・RightAlt  -> XF5(0x59)
//  ・RgihtWin  -> N/A
//  ・Menu      -> OPT.1(0x72)
//  ・RightCtrl -> OPT.2(0x73)
//  ・END       -> UNDO(0x3a)
//  ・ScrollLock-> HELP(0x54)
//  ・Pause     -> BREAK(0x61)
//  ・PrintScr  -> COPY(0x62)
//  ・NumLock   -> CLR(0x3f)
//  ・Num /     -> 記号入力(0x52)
//  ・Num *     -> 登録(0x53)
//  ・Num -     -> コード入力(0x5c)

 

※記号入力(기호입력)/登録(등록)/コード入力(코드입력)을 숫자키패드의 일부 키에 할당했습니다.

 

Arduino Pro Mini용의 USB HOST를 사용한 버전의 제작방법

USBHOST 가공

참고 페이지: https://ht-deko.com/arduino/shield_usbhost_mini.html

 

컷 부분 테스터로 체크 여기가 통전하지 않으면 OK

 

Arduino의 헤더핀 납땜

그냥 납땜해 버리면 비뚤어지기 쉬우므로 아래에 USB HOST를 깔고 납땜하면 좋다.

 

USB 단자와 FTDI 단자가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맞춘다

 

USB의 5V와 RAW를 연결하기 위한 전선을 준비한다(약 43mm)

 

뒷면에서 양측을 이어준다

 

레벨 컨버터를 양면 테이프로 절연하여 붙여준다

 

A0과 A1과 VCC의 다리를 구부려 LV4, LV3, LV에 연결한다

 

GND(검정)의 접속과 TX와 LV1(흰색)의 접속

 

이것으로 어댑터 자체는 준비 완료. 남은 것은 Mini Din 7핀 단자와의 연결.

실제로 연결하는 핀은 5개이다.

 

PS/2 케이블 가공

원래의 키보드 커넥터는 7핀이지만 6번째 핀의 REMOTE는 이 변환기에서는 사용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Mini DIN 6핀 케이블을 가공해 사용할 수 있습니다. 중앙에 있는 플라스틱 돌기를 니퍼 등으로 절단해 버리면 본체의 7핀 단자에 끼울 수 있습니다.

 

완성

 

'Retro > X68K' 카테고리의 다른 글

Pro 전원 ATX 교체  (0) 2025.02.18
X68000 Pro FDD 콘갈이 참고  (0) 2025.02.05
FDD 외장케이블 만들기  (0) 2025.01.08
더블 Gotek 사용하기  (0) 2025.01.06
VGA 단자변환 케이블 배선  (0) 2024.12.08

출처 : https://github.com/Lameguy64/ps2serial

 

PS2시리얼

PS/2 마우스를 지원하지 않는 빈티지 컴퓨터에서 사용할 수 있는 PS/2-시리얼 마우스 어댑터를 직접 만드는 방법의 회로도와 Arduino 코드입니다. 빈티지 시리얼 마우스에 대한 저렴하고 훨씬 더 안정적인 DIY 대안으로 의도되었으며, 이를 통해 현대 레이저 마우스를 지원하지 않는 빈티지 컴퓨터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어댑터는 3버튼 Microsoft 직렬 마우스를 에뮬레이트합니다. 3버튼 버전을 지원하지 않는 드라이버는 2개의 버튼만 등록할 수 있습니다. 스크롤휠은 지원되지 않으며 스크롤 휠이 있는 직렬 마우스를 지원하는 소프트웨어나 운영 체제가 거의 없기 때문에 구현되지 않을 가능성이 큽니다.

이 프로젝트는 Arduino Leonardo를 사용하여 프로토타입을 만들었지만 Arduino 코드를 거의 수정하지 않고도 내장된 직렬 UART가 있는 5V Arduino와 함께 작동해야 합니다. 어댑터는 직렬 포트 중 하나에 연결된 386DX에서 완벽하게 작동했습니다.

특징

  • Microsoft 3버튼 마우스와 호환(Logitech도 지원).
  • 초당 ~40개 보고 이벤트 속도(가운데 버튼을 누르지 않았을 때).
  • 사용자의 빌드에 맞게 Arduino 스케치 코드를 쉽게 구성할 수 있습니다.

요구 사항

  • UART가 내장된 5V Arduino.
  • 74LS00 NAND 게이트(74HC00도 가능하며 12V 출력이 가능할 수 있음(테스트 안 함)).
  • LM7805 또는 AM7805 전압 조절기.
  • 200옴 저항기.
  • DB9 암 커넥터(PC 연결용).
  • 6핀 미니 DIN 암 커넥터(PS/2 마우스 연결용)

Github의 kristopher가 만든 PS2Mouse Arduino 라이브러리도 필요합니다: https://github.com/kristopher/PS2-Mouse-Arduino

 

 

1) 종료 버그 패치

   - 증상 : 처음 막 설치할 때는 괜찮으나 여러가지 드라이버들을 설치하다 보면 제대로 윈도우가 종료되지 않는다. 시스템 종료를 선택하면 재부팅되어 버림. 시스템 재시작을 선택하면 'Windows를 종료하고 있습니다...'의 화면에서 멈춰버림. 

   - 해결 : MS에서 내놓은 종료 버그 패치를 깔면 된다

 

2) USB 패치

   - 증상 : 화면 절전으로 꺼졌을 때 USB 마우스나 키보드로 깨우는 기능이 작동하지 않는다. 처음 컴퓨터를 켰을 때에는 키보드, 마우스가 잘 작동하나 어느 정도 사용하다 보면 작동이 멈춘다. 화면 절전으로 꺼진 다음에는 마찬가지로 작동이 멈춘다.

   - 해결 : 레지스트리 에디터로 다음 사항을 적용

Windows Registry Editor Version 5.00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usb]
"USBBIOSHACKS"=dword:00000000
"USBBIOSx"=dword:00000000

 

 

출처 : https://github.com/keirf/FlashFloppy/issues/232

 

알리에서 구입할 수 있는 고텍 종류 중 요렇게 생긴 물건이 있다. EILASUNG FDD-UDD U144K라는 제품명을 가지고 있고 내부 기판은 이렇게 생겼음.

 

흔히 알려진 아래의 원조 GOTEK 보드와는 생김새가 상당히 다르다.

 

메인 칩도 보통 GOTEK은 Artery 칩을 쓰나 이놈은 STM32 칩을 쓴다. 

GOTEK의 주된 용도(?)인 FlashFloppy용으로의 개조가 가능할지 조금 의심+불안스러웠으나 위 링크에서 개조법을 찾아냄.

 

  • Gotek 드라이브에서 모든 점퍼를 제거
  • ST-Link-V2 프로그래머를 Gotek에 연결한다

  • Windows에서 "STM32 ST-Link Utility"를 설치, 실행한다

  • ST-Link Utility에서 연결 버튼을 누른 다음 NRST(Pin 07)를 빠르게 분리한다
  • 다음과 같이 장치가 연결되어야 함

  • 참고: 문제가 있는 경우 연결 설정을 확인하려면 다음 그림을 참조할 것

  • 이제 NRST(일명 핀 07)를 ST-Link-V2 프로그래머의 RST 핀에 연결한다
  • ST-Link Utility에서 메뉴의 Target -> Program을 선택

  • FlashFloppy를 다운로드하고 압축을 푼다
  • FlashFloppy .hex 펌웨어 파일을 선택하고 Gotek에 플래싱한다

  • 이제 핀 J2(일명 SO)에 점퍼를 연결한다
  • 완료!

 

 

* OLED 연결법

 

 

* 로터리 인코더 연결법

 

'Retro > D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PS2Serial  (0) 2024.12.26
윈98 설치시 해줘야 하는 것들  (1) 2024.12.20
DOS / Win98 듀얼부팅 간단하게 만들기  (0) 2024.12.08
미니 도스컴퓨터 만들기  (0) 2024.11.15
사운드블래스터 카드의 IDE 포트 활용하기  (1) 2024.08.22

https://cafe.naver.com/olddos/94184

 

순수 윈도우98만 설치 후 DOS와의 듀얼 부팅 세팅법

대한민국 모임의 시작, 네이버 카페

cafe.naver.com

 

1. 윈도우 98 SE를 설치함

 

2. 무사히 설치 잘 됐으면 먼저 윈도우가 설치된 C 드라이브에서 C:\MS-DOS.SYS 파일의 속성을 숨김, 읽기전용 해제하고 편집한다.

 - 'Options' 항목에 BootGUI=1BootGUI=0 으로 변경하고 저장

 - 파일의 속성을 원래대로 돌려놓는다(숨김, 읽기전용 체크). 기록이라는것이 체크되는데 해제할것

 

3. 이 상태에서 재부팅하지 말고 아래의 두 파일도 편집한다

 

4. 똑같이 C:\에 있는 CONFIG.SYS 편집

[MENU]
menuitem=WIN, Windows 98 SE
menuitem=DOS, MS-DOS

menudefault=WIN, 20
MENUCOLOR=7,0

[COMMON]
DOS=HIGH,UMB
FILES=30
BUFFERS=20
STACKS=0,0
LASTDRIVE=Z

[WIN]
device=C:\WINDOWS\biling.sys
DEVICE=C:\WINDOWS\setver.exe

[DOS]
DEVICE=WINDOWS\HIMEM.SYS /VERBOSE /NUMHANDLES=72
DEVICE=WINDOWS\EMM386.EXE RAM AUTO

 

5. AUTOEXEC.BAT 편집

@echo off
PATH=C:\WINDOWS\COMMAND;C:\DOS;C:\DOS\MDIR;
goto %config%


:WIN
loadhigh C:\WINDOWS\COMMAND\nlsfunc.exe C:\WINDOWS\country.sys
C:\WINDOWS\WIN.COM
GOTO END


:DOS
LH DOS\SMARTDRV.EXE 1024 512 /v
GOTO END

:END

 

 

'Retro > D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98 설치시 해줘야 하는 것들  (1) 2024.12.20
EILASUNG FDD-UDD U144K : FlashFloppy 작업  (0) 2024.12.12
미니 도스컴퓨터 만들기  (0) 2024.11.15
사운드블래스터 카드의 IDE 포트 활용하기  (1) 2024.08.22
picoX86  (0) 2023.06.16

 

 

http://rdstyle.cocolog-nifty.com/gm/2020/02/post-3324c0.html

 

VGAケーブルを作って見た。(2列←→3列 D-SUB15ピン) - じむの(とりあえず)やってみたの巻

以前PC-8801を購入した時に、液晶表示のためにRGB変換コネクタ(2列15ピ...

rdstyle.cocolog-nifty.com

 

'Retro > X68K' 카테고리의 다른 글

Pro 전원 ATX 교체  (0) 2025.02.18
X68000 Pro FDD 콘갈이 참고  (0) 2025.02.05
FDD 외장케이블 만들기  (0) 2025.01.08
더블 Gotek 사용하기  (0) 2025.01.06
키보드/마우스 USB 컨버터  (0) 2025.01.06

1. 케이스 주문

  https://www.printables.com/model/694802-retro-desktop-pc-raspberry-pi-case-v2

 

Retro Desktop PC Raspberry Pi case V2 by fantasticmrdavid | Download free STL model | Printables.com

Retro Desktop PC case based on an old 286 desktop PC I grew up with. Boots via SD card in the 5.25 drive. | Download free 3D printable STL models

www.printables.com

 그냥 출력하고 나중에 색칠해도 되지만 애초에 출력할 때 다색출력으로 하면 채색하는 수고를 줄일 수 있다.

 

2. 부품 주문

인쇄물 외에 다음이 필요합니다.

* Raspberry Pi(저는 4B를 사용했지만 Pi에 맞는 부품을 인쇄해야 합니다)
* Pi Zero 2W~3B 어댑터( 이것 과 같은 것 ) - Pi Zero에 후면 I/O 포트를 추가하는 데 필요합니다.
* 3.5인치 HDMI MPI3508 LCD 디스플레이( 이것 과 같은 )
* Micro SD to SD 카드 유연한 확장 케이블:Pi 5/4B/3B/2B의 경우 - 리더 드라이브 부분은 링크에 있는 부분에 맞게 특별히 설계되었습니다. 제가 시도한 다른 제품은 마이크로 SD 쪽이 너무 커서 데스크탑 베이스에 맞지 않았습니다. SD 리더의 올바른 방향은 SD 카드를 라벨이 위를 향하게 삽입하는 것입니다.
* HDMI 플랫 플렉시블 케이블 15cm ( 이것 과 같은 ):파이 5/4B - 변형 D2 + A2.Pi 3B - 변형 A2 + A2.Pi Zero 2W - 변형 C2 + A2.1x 0.1m USB-C 확장 케이블(예: 이 케이블 )로 Pi가 후면 I/O 패널에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습니다. 참고: Pi 5는 일반 USB 확장 케이블과 작동하지 않으며 USB PD 지원 케이블을 사용해야 합니다(아직 작동하는지 테스트하지 못했습니다).
* SD 카드 드라이브 래치용 M1.5x8 다웰 핀 1개( 이것 과 같은 것)
* 40핀 GPIO 확장 케이블( 이것 과 같은 ). 조립할 때 모니터에 여유 공간을 최대한 남겨서 데스크탑에 다른 케이블을 위한 공간을 남겨두세요.
* USB-C 포트 브레이스를 데스크탑 받침대에 고정하기 위한 M2.5x8 나사 1개.
* Pi를 데스크탑 베이스에 고정하기 위한 M2.5x5 나사 4개.
* 데스크탑 케이스를 모니터 받침대에 고정하기 위한 M2.5x5 나사 4개.
* SD 드라이브 브레이스를 전면 패널 뒷면에 고정하기 위한 M2.5x5 나사 1개.데스크탑 케이스를 데스크탑 받침대에 고정하기 위한 M2.5x8 나사 2개.
* 디스플레이 브레이스를 모니터 전면에 고정하기 위한 M2.5x8 나사 2개.모니터용 M2.5x8 나사 4개.

옵션 항목:

* Pi 스피커 확장 보드( 이것 과 같은 )
* LCD 디스플레이 5v 핀( 이것 과 같은)에 연결된 듀얼 25mm 팬. 또한 JST 2핀 연장 케이블이 필요했습니다.
* 팬을 데스크탑 받침대에 고정하기 위한 M2.5x10 나사 8개.

 

3. 라즈베리 파이의 LCD 출력 

https://blog.hypn.za.net/2020/05/03/booting-a-raspberry-pi-to-dosbox/

 

 - 설치할 라즈비안은 Bookworm이 아니라 Legacy Bullseye로 할 것. config.txt의 위치가 다르다거나 여러가지로 설정하기 곤란한 점이 많음. (애초부터 Dosbian을 설치할 거면 상관없음)

 - Dosbian의 경우 lightdm 패키지가 없으므로 미리 설치한다 (LCD-show 설치에 필요함)

 - LCD-show 패키지 설치

 - LCD에 맞는 드라이버 설치 (위에서 추천하는 것은 MPI3508이므로 그걸로 설치)

 - config.txt 편집 :

   1) dtoverlay=vc4-kms-v3d 라인 주석처리 (KMS 디스플레이 드라이버를 사용하지 않도록 하는 것. 이걸 사용하면 LCD의 회전처리가 안됨)

   2) [all] 섹션에 overscan_left=20 / overscan_right=55 / framebuffer_width=640 / framebuffer_height=480 / dtoverlay=tft35a:rotate=270 / display_rotate=2 추가 (이것으로 LCD 화면이 180도 회전됨)

 

4. 부팅시 로그 메시지 및 스플래시 화면 없애기

 - 인터넷에서 자주 나오는 'console = tty1을 console=tty3으로 바꾸라'는 팁은 작동하지 않으니 무시

 - /boot/cmdline.txt 맨 마지막에 다음 추가 : plymouth.ignore-serial-consoles quiet loglevel=3 plymouth.enable=0

 

5. 자동로그인

 - /etc/lightdm/lightdm.conf 편집

 - 하단쪽에 autologin 관련 항목들 주석제거해서 살림

    autologin-guest=true
    autologin-user=pi
    autologin-user-timeout=0

 - 다 살렸는데도 자동로그인이 안될 때가 있는데 이거는 위 4번에서 나오는 console=tty3으로 되어 있을때 안되는 경우가 있음. tty1로 돌려 놓으면 자동로그인이 작동한다

 

6. 키보드 키배열 이상해지는 문제

 - 보통은 /home/pi/.dosbox/dosbox-0.73-4.conf를 편집해서 usescancodes=false, keyboardlayout=us로 하라는 팁이 많음

 - 근데 이걸로 해결이 안될때가 있다! (해결책 찾는 중)

Duo Disabler 설치 지침

1. 메인보드 뒷면의 카트리지 슬롯 핀 위에 Duo Disabler를 올려놓습니다.


2. 다음과 같이 흰색 원 마크가 되어 있는 핀을 납땜합니다(핀 1, 18, 24, 36, 38)


3. NEC D91317GD(CD ASIC) 칩을 찾습니다. 핀 3과 40을 조심스럽게 들어 올립니다.


4. 들어 올린 핀 아래에 ASIC QSB를 끼워 넣고, 들어 올린 핀과 위치를 맞춥니다. 표시된 패드에 들어올린 핀을 납땜합니다.


5. Duo Disabler의 "A20" 및 "CARD" 핀에서부터, ASIC QSB의 각각 해당하는 핀으로 와이어를 연결하고 납땜합니다.


6. TED Pro 오른쪽 오디오 연결
   a. 오리지널 듀오의 경우 : R616을 제거합니다(보드 후면의 위쪽 가장자리, DIN 단자 근처에 있습니다). 그런 다음 "D"(또는 "OGDuo") 패드에서, PCB 가장자리에 가장 가까운 R616의 측면까지 와이어를 납땜합니다. R613도 함께 연결되어 있으므로 이쪽으로 납땜해 주어도 됩니다.


b. 듀오 R/RX의 경우 : R616을 제거합니다(보드 후면의 위쪽 가장자리, DIN 단자 근처에 있습니다). 그런 다음 "R" 패드에서, PCB 가장자리에 가장 가까운 R616의 측면까지 와이어를 납땜합니다. R613이나 R692도 함께 연결되어 있으므로 이쪽으로 납땜해 주어도 됩니다.

7. 오리지널 듀오 전용 - 2024년 9월 12일 이전에 구매한 첫 번째 생산분 : 오리지널 PCE/터보 듀오의 리셋 타이밍은 이후 유닛보다 훨씬 빨라서 Duo Disabler가 제대로 작동하려면 속도를 줄여야 합니다. 키트에 포함된 1uF 세라믹 커패시터를 C951에 납땜(위에 올리거나 옆으로 붙여서)하여 리셋 타이밍을 늘리세요. 

여기까지 하면 설치가 완료된 것입니다!


작동 지침:

듀오 본체의 전원 스위치를 끕니다. 터보 에버드라이브 프로를 본체에 삽입하고, Everdrive의 리셋 버튼을 누른 채로 전원을 켭니다.

전원을 켜고 1초 동안 리셋 버튼을 누른 채로 있다가, 1초 뒤에 리셋 버튼을 놓습니다. 

 

이렇게 했을 때 터보 에버드라이브 프로 메뉴가 표시되고 CD-ROM 게임을 플레이할 수 있어야 합니다.

 

전원을 한번 껐다 켜면 시스템이 평소 상태로 돌아갑니다. 즉 CD 게임 플레이가 다시 불가능해집니다. 만약 다시 CD 게임을 하고 싶다면 전원을 껐다 다시 켜면서 다시 리셋 버튼을 누르고 있어야 합니다. 


TED 프로 오디오 설정:

 

올바른 오디오 응답을 제공하려면 다음을 설정하세요:

볼륨 L : 50%(OG 듀오) / 70%(듀오 R)
볼륨 R : 50%(OG 듀오) / 70%(듀오 R)
CDDA 볼륨 : 62%
PCM Vol : 58%
PCM 필터 컷 : 6600
PCM 필터 이득 : 1.00

 

'Retro > PCE DUO' 카테고리의 다른 글

Membase - 메모리 베이스 (세이브군) 대체  (0) 2023.06.15
콘덴서 리스트  (0) 2023.06.12
사운드 문제 해결용 부품  (0) 2023.05.16
FRAM 개조  (0) 2023.05.16
블루레트로 장착  (0) 2023.05.16

https://rubenerd.com/using-an-ide-cdrom-with-a-sound-blaster-32/

 

시작하기 전 경고

 직접 시도하기 전에 Sound Blaster 카드에 실제로 IDE가 있는지 확인하십시오 . 이전의 Creative 카드에는 IDE처럼 보이지만 전기적으로 호환되지 않는 독점적인 CD-ROM 헤더가 있었습니다. IDE 드라이브를 비표준 헤더에 연결하면 드라이브나 귀중한 카드가 손상될 수 있습니다.

 커넥터 주변에 "IDE"라고 쓰인 실크스크린 노트를 찾아보세요. "Panasonic"이나 "Sony" 가 아닙니다 . 더 나은 방법은 카드의 모델 번호를 검색하여 확인하는 것입니다.

카드와 드라이브 준비

 Sound Blaster 32, AWE32, AWE64는 플러그 앤 플레이 카드입니다. DOS에서는 다음 순서로 로드합니다.

  1. Creative의 PnP 감지 도구 CTCM.EXE
  2. IDE 컨트롤러용 SBIDE.SYS 드라이버
  3. MSCDEX.EXE 또는 동등한 CD-ROM 드라이버

 Creative 웹사이트에는 2023년 현재도 기적적으로 위 2개 항목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만약 위 링크가 죽어버렸거나 다운로드가 되지 않는다면, 웹에서 파일명을 검색해 찾아보세요:

 

크리에이티브 다운로드: SBIDE20.EXE
크리에이티브 다운로드: CTCMBBS.EXE

 

 DOS에서 직접 이 설치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지만, 제대로 작동하는지는 엇갈린 성공 사례만 있었습니다. 저는 먼저 FreeBSD 머신이나 Mac에서 UNZIP을 사용 하여 압축을 풀어 필요한 파일을 얻고 C:\DRIVERS 에 넣습니다 .

 

 마지막으로 MSCDEX가 필요합니다 . 이것은 PC DOS 7/2000의 C:\DOS 에 들어 있거나 Windows 9x 부팅 디스크에서 얻을 수 있습니다. 또는 메모리를 덜 사용하는 드롭인 대체품으로 SHSUCDX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SHSUCDX, 제이슨 후드 지음

카드의 IDE 설정 찾기

 CTCMBBS.EXE 아카이브에는 Sound Blaster 카드의 구성을 조사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CTCU.EXE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화살표 키를 사용할 수 있지만 먼저 마우스 드라이버를 로드하면 더 쉽습니다 .

  1. CTCU.EXE를 실행하세요
  2. 메뉴를 클릭 하고 PnP 카드를 클릭합니다.
  3. 장치 목록 에서 IDE를 클릭하세요
  4. 리소스 버튼을 클릭하세요 .

 설정 에서 다음과 같은 세 줄이 표시됩니다.

I/O Range 1e8-1ef
I/O Range 3ee-3ef
Interrupt 11

이 설정을 기록해 두십시오. 그리고 ESC를 두 번 누른 다음 메뉴 에서 종료를 선택하십시오 .

드라이버 구성

CONFIG.SYS 에서 LASTDRIVE를 정의하여 CD-ROM에 할당할 여분의 드라이브 문자를 확보합니다. 완료되면 종료되므로 높게 로드할 필요가 없는 CTCM 드라이버를 실행합니다. 그런 다음 SBIDE.SYS IDE 드라이버를 로드합니다. /P 플래그는 위의 첫 번째 I/O 범위의 시작을 사용하고, 그 다음에 인터럽트를 사용하고, 그 다음에 두 번째 I/O 범위를 사용합니다.

;; CONFIG.SYS
LASTDRIVE=E
DEVICE=C:\DRIVERS\CTCM.EXE
DEVICEHIGH=C:\DRIVERS\SBIDE.SYS /D:JIMKLOSS /P:1E8,11,3EE /V

그리고 AUTOEXEC.BAT . 위에서 /D를 사용하여 정의한 것과 동일한 드라이브 레이블을 사용합니다 .

:: AUTOEXEC.BAT
SET SOUND=C:\DRIVERS
SET CTCM=C:\DRIVERS
:: Uncomment if using Windows 3.x
:: C:\DRIVERS\CTCU.EXE /S /W=C:\WINDOWS
C:\DRIVERS\MSCDEX.EXE /D:JIMKLOSS /L:E /M:15 /V

재부팅하고 테스트하세요

모든 것이 잘 진행되면 다음과 같은 출력이 표시됩니다.

Creative CD-ROM Device Driver Version 1.22
Copyright (C) Creative Technology Ltd,1994-97. All rights reserved.
  Transfer Mode      : Programmed I/O
  Number of drives   :
  Drive    0:  Port=  1E8  IRQ= 11 CD-ROM CRN-8241B 2.23
   
MSCDEX Version 2.24
Copyright (C) IBM Corp. 1986-1994. All rights reserved.
     Drive D: = Driver JIMKLOSS unit 0

또는 SHSUCDX를 사용하는 경우 :

SHSUCDX installed.
  Drives Assigned
Drive  Driver   Unit
  D:   JIMKLOSS   0

이제 접속할 수 있습니다!

문제 해결

 당연한 것처럼 들리지만 드라이브가 감지되지 않으면 카드에 IDE 리본 케이블을 다시 끼우거나 바꿔보세요. 저는 제가 엉터리 케이블을 사용하고 있다는 것을 깨닫기 전까지 몇 시간 동안 문제 해결에 허비했고, 그 오래된 사운드 카드 IDE 커넥터는 매우 불안정할 수 있습니다.

 

 CTCU.EXE 는 문제 해결을 위한 친구입니다. 카드가 전혀 나열되지 않으면 ISA 버스에 제대로 연결되지 않은 것일 수 있습니다.

 

 DeoxIT 또는 유사한 산화 제거 용액 캔을 잡고 슬롯에 뿌리고 카드의 핀을 청소하세요. 알다시피, 그것이 이유라고 생각하지는 않겠지 만, 이 물건은 오래되었습니다.

 

 카드가 감지되면 CTCU.EXE를 사용하여 다른 인터럽트 및 I/O 주소를 설정한 다음 CONFIG.SYS를 업데이트하여 이를 반영해 보세요. 특정 보드는 기본 설정을 좋아하지 않는다는 글을 읽었습니다.

 

 아무것도 효과가 없다면, 포기하고 두 개의 인터페이스가 있는 전용 IDE 컨트롤러를 사용하는 게 좋을지도 모릅니다. 저는 레트로컴퓨팅을 좋아하지만, 다른 일을 할 수 있도록 새 카드로 문제를 해결하는 것도 나쁘지 않습니다.

 

SBIDED95.EXE
1.17MB
sbide20.exe
0.04MB
ctcmbbs.exe
0.67MB

'Retro > D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98 설치시 해줘야 하는 것들  (1) 2024.12.20
EILASUNG FDD-UDD U144K : FlashFloppy 작업  (0) 2024.12.12
DOS / Win98 듀얼부팅 간단하게 만들기  (0) 2024.12.08
미니 도스컴퓨터 만들기  (0) 2024.11.15
picoX86  (0) 2023.06.16

 

https://github.com/dangiu/PicoMemcard

 

GitHub - dangiu/PicoMemcard: Emulating PSX Memory Card (or controller) using a Raspberry Pi Pico

Emulating PSX Memory Card (or controller) using a Raspberry Pi Pico - dangiu/PicoMemcard

github.com

 

 

+ Recent posts